한국직업능력개발원(원장 나영선)이 27일 ‘KRIVET Issue Brief’ 제142호 ‘국제 비교를 통해 살펴본 한국 기업의 스킬 수요와 고용률의 관계’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은 전문직 종사자 비율이 27.9%로 OECD 21개국 중 최하위이며 OECD 평균(39.0%)보다 11.1%p 낮았다.
직장에서의 스킬 활용 지수는 한국이 -0.42로 OECD 21개국 중 가장 낮았다. 저역량자의 경우 직장에서 스킬을 활용하는 수준이 가장 낮고 고역량자도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실제 일한 경력에서는 한국이 13.2년으로 OECD 21개국 중 가장 짧으며, 특히 고역량자의 평균 경력은 10년도 채 안 됐다.
직무에 만족하고 있는 취업자 비율은 한국이 55.9%로 OECD 평균 79.5%보다 23.6%p 낮아 OECD 21개국 중 최하위였다.
기업의 스킬 수요가 큰 국가일수록 고역량자의 고용률이 높았다. 한국의 고역량자 고용률이 떨어지는 것은 기업의 낮은 스킬 수요에 기인했을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새 책] 『경제 저격수의 고백』 -존 퍼킨스](/news/data/20251026/p1065548660886317_249_h2.png)
![[속보] 강경보수' 다카이치, 140년 된 유리천장 깼다](/news/data/20251021/p1065620211350235_185_h2.png)
![[속보] 與, 대법관 14→26명 사법개혁안 발표](/news/data/20251020/p1065605650175380_165_h2.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