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후반 여성 출산율 증가, 출산 연령 변화 주목
서울, 부산 등 12개 시도 출생아 수 증가세
혼인 건수 증가, 이혼 건수 감소로 인구 구조 변화
올해 8월까지 출생아 수가 18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국가데이터처가 29일 발표한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의 출생아 수는 16만 8671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만 708명(6.8%) 증가했다.
1월부터 8월까지 출생아 수가 증가한 것은 2015년 이후 10년 만이며, '황금 돼지띠'였던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지난 8월 출생아 수는 1년 전보다 764명(3.8%) 늘어난 2만 867명으로, 작년 7월 이후 1년 2개월째 증가세가 이어졌다.
![]() |
| ▲병원의 신생아실. |
월별 출생아 수는 올해 들어 2만 명 수준을 유지하다가 6월에 일시적으로 내려갔으나, 7월부터 다시 2만 명 선을 회복했다. 8월 출생아 수는 2022년 이후 3년 만에 가장 많았지만,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기준으로는 2023년, 2024년에 이어 세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8월 합계출산율은 0.77명으로 1년 전보다 0.02명 증가했다. 8월에 30대 후반 여성의 출산이 늘었다. 모의 연령별 출산율을 가임 여성 1000명당 출생아 수로 살펴보면, 30대 초반은 69.9명으로 1년 전보다 0.3명 감소했지만, 30대 후반은 50.9명으로 4.9명 증가했다. 25세부터 29세, 40세 이상은 전년과 같았고, 24세 이하는 0.1명 줄었다.
[표 1] 전국 출생아 수 및 증감률
| 2023년 | 2024년 | 2024년 | 2025년p | ||||
8월 | 1~8월 | 6월 | 7월 | 8월 | 1~8월 | |||
출생아 수(명) | 230,028 | 238,317 | 20,103 | 157,963 | 19,953 | 21,803 | 20,867 | 168,671 |
전년(동월) 증감률(%) | -7.7 | 3.6 | 6.0 | -0.4 | 9.4 | 5.9 | 3.8 | 6.8 |
[그림 1] 전국 월별 출생 추이

시도별로는 서울, 부산 등 12개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증가했고, 충북, 충남 등 5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출산 순위별 비중을 보면 첫째아는 2.0%포인트 상승했으며, 둘째아와 셋째아 이상은 각각 0.9%포인트, 1.1%포인트 하락했다.
8월 혼인 건수는 1년 전보다 1922건(11.0%) 늘어난 1만 9449건으로, 같은 달 기준 2017년 이후 8년 만에 가장 많았다. 혼인 건수는 작년 4월 이후 1년 5개월 연속 증가세다. 반면 8월 이혼 건수는 420건(-5.5%) 줄어든 7196건으로, 같은 달 기준 2008년 이후 17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다. 이혼 건수는 올해 1월부터 8개월 연속 감소세다.
[표 5] 전국 사망자 수 및 증감률
| 2023년 | 2024년 | 2024년 | 2025년p | ||||
8월 | 1~8월 | 6월 | 7월 | 8월 | 1~8월 | |||
사망자 수(명) | 352,511 | 358,569 | 32,121 | 237,635 | 27,270 | 27,979 | 28,971 | 242,411 |
전년(동월) 증감률(%) | -5.5 | 1.7 | 5.2 | 3.0 | 1.4 | -0.7 | -9.8 | 2.0 |
[그림 3] 전국 월별 사망 추이

8월 사망자 수는 2만 8971명으로 1년 전보다 3150명(-9.8%) 감소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1983년 월간 사망자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보통 8월 사망자 수는 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올해는 작년보다 8월 전국 평균 기온과 평균 최고기온이 모두 낮았다고 국가데이터처는 설명했다.
이번 출생아 수 증가는 인구 감소 문제 해결의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낮은 출산율과 인구 구조의 변화는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는 장기적인 인구 정책의 방향성을 재검토하고, 사회적 지원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새 책] 『경제 저격수의 고백』 -존 퍼킨스](/news/data/20251026/p1065548660886317_249_h2.png)
![[속보] 강경보수' 다카이치, 140년 된 유리천장 깼다](/news/data/20251021/p1065620211350235_185_h2.png)
![[속보] 與, 대법관 14→26명 사법개혁안 발표](/news/data/20251020/p1065605650175380_165_h2.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