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1조 원 돌파, SH공사 출자금 500억 원 이상 투입 예정
디자인 변경과 복합문화시설 추가로 사업비 급증
시민 불신 초래, 공공성과 투명성 강화 촉구
![]() |
▲박승진 시의원 질의 모습. |
서울시가 추진 중인 대관람차 ‘서울링’ 사업이 대형 복합문화시설로 변질되면서 중단 위기에 처해 있다.
박승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3)은 서울시가 대관람차를 민간투자사업으로 홍보했지만 실제로는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가 큰 지분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다고 날카롭게 비판했다.
서울시는 최초 4000억 원 규모였던 사업비가 1조 871억원으로 폭증, SH공사의 출자금도 500억 원 이상 증가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초기 계획과 달리 공연장과 전시장 등 복합문화시설이 추가되는 과정에서 사업비가 급등했다.
더욱이 디자인 표절 논란 속에 하나의 링에서 두 개의 링 구조로 변경되었으며, 이로 인해 대규모 복합문화시설이 계획된 것이다.
박 의원은 “서울시가 복합문화시설의 비용 증가를 대관람차보다 더 중요시하면서도 디자인 변경과 추가 시설의 비용 차이를 명확히 공개하지 않는다는 것은 문제가 된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애초부터 평화의공원에 대규모 복합문화시설을 조성하려는 의도가 있지 않았나 의심스러우며, 시민들이 이를 알고 있었다면 수용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박 의원은 사업 추진 방식에도 문제를 제기하며, “서울시는 지방선거에 맞추기 위해 무리한 속도를 내는 바람에 사업이 위기에 처했다”고 경고했다. 이는 이전 정권과의 연계에서 비롯된 결과로 절차상의 한계에 부딪힌 것이다.
박 의원은 “서울시는 시민 세금이 투입되지 않는 랜드마크 건설을 내세웠지만, 결국 시민 불신만 커졌다”며 “공공성과 사업타당성을 다시 점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또 "대관람차 사업을 통해 드러난 비정상적인 구조가 과거의 한강버스 사업에서도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서울시가 더 이상 무분별한 사유화를 중단하고 진정으로 시민을 위한 한강 활용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시에서 선보일 예정인 한강버스는 이크루즈와 SH공사의 합작 추진에도 불구하고, 협약 미이행으로 인한 SH공사의 과도한 투자와 부실한 선박 건조업체 선정 등으로 문제가 심각하다.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를 입점시켜 수익을 창출하려는 이 구조에 강력한 비판이 가해진다.
이같은 박 의원의 지적은 서울시가 추진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들이 시민의 신뢰를 잃고 있으며, 공공성과 투명성 강화를 촉구하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