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과 철학

thumbimg

[운명학 바로잡기] 경사(慶事)가 이어지는 집 이사하는 것은 잘 자라는 나무를 옮겨 심어 질병에 시달리게 하는 것과 같다-이상엽
안재휘 기자 2025.06.29
<041> ‘돈 들어오는 집은 떠나지 말라’고 하던데? -더 이상의 부귀를 이루지 못하고 상식 밖의 재앙이 닥칠 수 있습니다. 문: 장사가 잘되는 집은 함부로 떠나거나 증축하지 말라고 하는 말을 들었습니다. 왜 그런가요? 답: ...

thumbimg

[운명학 바로잡기] 가족 수를 고려하지 않은 채 큰 집에 사는 것은 재앙을 불러들인다-이상엽
안재휘 기자 2025.06.16
<040> 집의 크기는 길흉화복과 어떤 연관성이 있나요?-집의 크기는 가족 수에 적당해야 복을 받습니다 [문] 사람들은 대개 작은 집보다 큰 집을 선호합니다. 큰 집에서 사는 것은 반드시 좋은 일인가요? [답] 큰 집은 존 ...

thumbimg

[새 책] 『기울어진 평등』 -토마 피케티·마이클 샌델
안재휘 기자 2025.05.18
‘부와 권력은 왜 불평등을 허락하는가.’ 지난해 5월, 세계적인 두 사상가 토마 피케티와 마이클 샌델이 파리경제대학에서 만나 가진 토론 내용이 책으로 정리돼 나왔다. ‘기울어진 평등’(와이즈베리)이라는 신간이다. 두 ...

thumbimg

[운명학 바로잡기] 동쪽·남쪽이 꽉 막힌 집에 살면 관재구설·가난 못 벗어나-이상엽
안재휘 기자 2025.04.20
<039> 동·남쪽이 막힌 집에는 살지 말라고 하던데? -건물의 높이, 방향, 도로와 하수구 등에 따라 생기(生氣)나 사기(死氣)가 모이는 곳을 구분해야 합니다. 문: 동쪽과 남쪽이 막힌 집에서 살아서는 안 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

thumbimg

[특별기고-허정 이상엽] 입춘(立春) 새해[年柱] 기준 주장 『연해자평(淵海子平)』은 오류!
안재휘 기자 2025.04.06
송(宋)나라 서자평(徐子平)은 명리학의 중조(中祖)로 추앙받는다. 그가 저술했다는『낙록자삼명소식부주(珞琭子三命消息賦註)』,『연해자평(淵海子平)』 등에서는 입춘(立春)으로 새해[年柱]를 정하고, 자시(子時)로 날짜의 시작[日柱]을 정하 ...

thumbimg

육치극[陸致極:루즈지]의 입춘(立春) 새해[年柱] 주장은 천문학적 근거 없는 허구!
안재휘 기자 2025.03.31
명리학은 24절기로 년과 월을 정하고, 천간과 지지[干支]를 짝지은 60갑자로 연월일시를 표기한다. 그 사람이 출생한 연월일시가 네 기둥[四柱]에 여덟 글자[八字]가 된다고 하여 사주팔자라고 지칭한다. 사주팔자를 정하는 달력은 ...

thumbimg

[운명학 바로잡기] 좋은 땅에 조상 유골(遺骨)을 모시게 되면 후손들이 번창한다-이상엽
안재휘 기자 2025.02.23
<038> 효도하는 사람이 명당 얻는다는 말이 있던데?-좋은 땅에 조상의 유골(遺骨)을 모시게 되면 오랫동안 서로 감응(同氣感應)해 그의 후손들이 번창하게 됩니다. 문 : 효도하지 않는 사람들은 명당을 얻을 수 없다던데 정말 ...

thumbimg

[특별기고] 입춘(立春)은 봄의 시작일 따름-이상엽
안재휘 기자 2025.01.19
올해도 어김없이 입춘(立春 2월 3일)이 다가온다. 1천 년 동안이나 입춘을 새해 시작점으로 잘못 써온 명리학계가 새롭게 밝혀진동지세수(冬至歲首) 기준을 따르기 시작했음에도 이 나라의명리학 석·박사들 상당수가 '입춘(立春)이 새해 기 ...

thumbimg

[박한표] 기쁜 마음(laeto animo)으로 살자.
안재휘 기자 2024.12.09
막 흘러가는 시간들 속에 현기증이 난다. 12월도 벌써 3일이다. 세월의 속도에 멀미약을 먹고 싶은 아침이다. 그래 생각한 것이 우리 성당의 슬로건인 기쁜 마음(laeto animo)으로 살자고 다시 다짐한다. 이건 정신적 태도이다. ...

thumbimg

[운명학 바로잡기] 집터와 집 짓는 시기가 안 맞으면 화를 입을 수 있다-이상엽
안재휘 기자 2024.12.01
<037> 집터와 집 짓는 시기가 안 맞으면 어떻게 되나요?- 그 사람의 운과 집터, 집을 짓는 시기는 맞춰야 한다 [문] 집터와 집 짓는 시기가 나쁘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요? 어떤 사례가 있나요? [답] 정년퇴직한 모 ...

thumbimg

[박한표] 오늘이 '지공거사(地空居士)'가 되는 날이다
안재휘 기자 2024.11.27
<<도덕경>>의 마지막 문장이 "하늘의 도는 모두를 이롭게 하고 누구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는다. 성인은 이를 따라서 모두를 이롭게 하고 누구와 겨루지 않는다(天之道(천지도) 利而不害(이이불해), 聖人之道(성인지도) 爲而不爭(위이부쟁) ...

thumbimg

[운명학 바로잡기] 집을 사거나 짓는 것도 때가 있다-이상엽
안재휘 기자 2024.11.24
<036> 집을 사거나 짓는 시기도 가려야 하나요? -집터가 아무리 좋아도 상생 되는 시기에 맞춰 집을 짓거나 매입해야 문: 집을 짓거나 사는 시기도 사람에 따라 가려서 해야 하는지요? 아무 때나 장만하면 안 되는 이유는 뭔가요? ...

thumbimg

[박한표] 성인은 남 탓하지 않는다
안재휘 기자 2024.11.10
세상이 요동치고 있다. 그 변화의 흐름을 잘 따라갈 수 없다. 미국은 '시대의 광인' 트럼프가 다시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한국 대통령도 위험하다. 자신의 앞에 놓은 상황을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는 거 같다. 오늘 아침 10시에 ...

thumbimg

[운명학 바로잡기] 집터와 사는 사람의 타고난 운명은 관계 있다-이상엽
안재휘 기자 2024.11.04
<035> 집터와 사는 사람의 타고난 운명은 관계가 없나요?-기운이 서로 맞는 경우에만 발복을 합니다. 문: 집터와 그 집에 사는 사람의 타고난 운명은 서로 관계가 없나요? 아무나 그 집에 살면 복을 받게 되는 건지요? 답 ...

thumbimg

[운명학 바로잡기] 나쁜 집터’란 사기(死氣)가 모이는 집터로서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운 것이 특징-이상엽
안재휘 기자 2024.10.16
<033> 나쁜 집터란 어떤 집터인가요? -산세와 수세가 거칠고 산만한 곳, 여름에는 유난히 덥고 겨울에는 더욱더 추운 것이 특징입니다 문: ‘나쁜 집터’는 주로 어떤 집터를 말하나요? 거기에 살면 사람이 어떻게 되나요? 답 ...

thumbimg

[박한표] '이야기는 힘이 있다'
안재휘 기자 2024.10.08
어제 한병철이 말하는 근대의 "서사의 위기"를 이야기 하다가 다른 길로 샜다. 오늘 아침 다시 돌아온다. 근대의 '서사적 위기"는 세상이 정보로 과포화되는 데 원인이 있다고 한 교수는 말했다. 이야기 정신은 정보의 홍수에 목이 졸렸다 ...

thumbimg

[운명학 바로잡기] 좋은 집터란 지상과 지하의 생기(生氣)가 모이는 곳-이상엽
안재휘 기자 2024.10.06
<032> ‘좋은 집터’란 어떤 집터를 말하나요? -지상과 지하의 생기(生氣)가 모이는 곳, 겨울에는 따뜻한 기운이 모이고 여름에는 시원한 기운이 모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문: ‘좋은 집터’란 어떤 터를 말하는 건가요? 어 ...

thumbimg

[박한표] 연민, 자비의 문제를 서양 철학으로 접근해 본다
안재휘 기자 2024.09.18
어제 사유했던 연민, 자비의 문제를 서양 철학으로 접근해 본다. "고통을 느낀다면 살아 있다는 뜻이고, 타인의 고통에 공감한다면 사람이라는 뜻이다." 톨스토이가 한 이 말이 오늘의 화두이다. 영어로 컴페션(compassiom)이라는 ...

thumbimg

[박한표] 우리들의 삶의 중심 점, '마아트'는 무엇일까?
안재휘 기자 2024.09.09
어제 아침은 고향에 벌초를 하러 가는 바람에 <인문 일지> 공유를 하지 못했다. 그래서 오늘은 어제 것과 오늘 것 두 개를 공유할 것이다. 벌초(伐草)는 한식(寒食)이나 추석 성묘 이전에 조상의 묘에 자란 풀이나 나무를 베어 깨 ...

thumbimg

[운명학 바로잡기] 도시에도 ‘좋은 집터’, ‘나쁜 집터’가 따로 있다-이상엽
안재휘 기자 2024.09.06
<031> 도시에도 ‘좋은 집터’, ‘나쁜 집터’가 따로 있나요? -산과 들로 이루어진 곳은 물론 고층 빌딩이 숲을 이룬 도시와 아파트에도 좋은 집터와 나쁜 집터는 반드시 있기 마련입니다 문: 대도시에는 각종 빌딩과 주택이 어마어마 ...

주요기사

+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