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염소 고기 생산량 30% 집중
'동의보감'에 기록된 염소 고기의 효능
염소 고기 소비 촉진 위한 연구개발 추진
염소 고기가 여름철 보양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염소 고기의 영양적 가치와 가정에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염소탕' 조리법을 소개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염소 고기는 6월부터 8월까지 전체 생산량의 약 30퍼센트가 집중된다. 이는 여름철 보양식으로서 염소 고기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많음을 보여준다.
![]() |
▲염소탕 |
전통 의학서인 '동의보감'에는 염소 고기가 체력 보강과 피로 해소에 도움을 준다고 기록돼 있다. 염소 고기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이 적어 현대인에게 적합한 고단백·저지방 식단을 제공한다.
염소 고기는 칼슘과 철분이 많아 뼈 건강과 혈액 생성에 도움이 되며, 비타민 E와 B가 들어 있어 여름철 기력 회복에 좋다. 염소 고기는 등심, 목심 등 10개 부위로 나뉘며, 부드러운 조직 덕분에 탕, 수육, 불고기 등으로 다양하게 조리할 수 있다.
□ 염소고기의 무기질 및 비타민 함량
구분 | 함량 |
무기질 |
|
철(mg/100g) | 2.73 |
칼슘(mg/100g) | 10 |
마그네슘(mg/100g) | 21 |
인(mg/100g) | 186 |
칼륨(mg/100g) | 298 |
나트륨(mg/100g) | 70 |
아연(mg/100g) | 4.59 |
구리(mg/100g) | 0.054 |
망간(mg/100g) | 0.008 |
셀레늄(μg/100g) | 13.76 |
비타민 |
|
레티놀(μg/100g) | 5 |
E(mg/100g) | 0.58 |
티아민(B1, mg/100g) | 0.101 |
리보플라빈(B2, mg/100g) | 0.172 |
니아신(mg/100g) | 2.579 |
판토텐산(mg/100g) | 0.015 |
* 출처: 국가표준 식품성분표(농촌진흥청, 2016) |
염소탕을 만들기 위해서는 염소 고기를 찬물에 담가 핏물을 빼고, 된장, 맛술, 월계수 잎을 넣어 끓인다. 고기가 익으면 손으로 찢고, 육수는 거름망으로 걸러 맑게 한다. 고사리, 배추 등 채소를 넣어 다시 끓이고, 소금으로 간을 한 후 들깻가루를 넣으면 완성된다.
농촌진흥청은 염소 고기 소비 확대와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 염소 고기 분할 정형 기준을 설정하고, 소매 상품화 기술을 개발하는 등 관련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강근호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푸드테크과 과장은 "염소 고기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건강에 유익한 영양성분이 많아 보양식으로 인기가 높다"며 "소비자가 품질 좋고 위생적인 염소 고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즐길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염소 고기는 여름철 보양식으로서의 가치가 높으며, 다양한 조리법을 통해 가정에서도 쉽게 즐길 수 있다. 농촌진흥청의 연구와 개발이 염소 고기의 소비를 더욱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