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화풍의 ‘후원한담도’, 부산시 문화재자료 지정

안진영 기자 / 기사승인 : 2021-11-25 07:26:1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조선 후기 문인들의 이상향을 담은 산수인물화
▲ 김홍도 화풍의 ‘후원한담도’, 부산시 문화재자료 지정

 부산시 시립박물관은 지난 24일 소장품인 ‘후원한담도’가 부산시 문화재자료 제117호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후원한담도’는 가로 52cm, 세로 113cm의 종이에 담묵과 담채를 혼용해 두 명의 인물이 잔을 두고 담소를 나누는 장면을 그린 산수인물화다.

태호석과 종려나무, 대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후원에 차양을 드리운 공간에서 두 명의 인물이 마주 앉아 잔을 두고 담소를 나누고 있고 두 인물 주변에서 시중을 드는 세 명의 인물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차양 아래 평상에는 심의에 사방관을 쓴 주인으로 보이는 인물이 앉아 있으며 인물 뒤로는 서책과 필통이 놓여있다.

맞은 편에 앉아 있는 벗으로 보이는 인물은 복두 형태의 관을 쓰고 심의를 입고 있다.

그의 왼편에는 쌍상투에 공수 자세의 동자가 서 있다.

화면 오른쪽에 더벅머리의 동자가 병을 나르고 있는 모습이 보이며 초막 안에는 국자로 독에서 물 혹은 술을 뜨고 있는 청년이 등장한다.

화면 아래 암반으로부터 대각선 구도로 대담하게 배치한 노송, 차양 뒤편에 위치한 큰 태호석, 대나무 등에서 군자의 절개 및 문인의 기품과 고상함이 드러난다.

화면에는 화제 및 낙관이 확인되지 않으나, 산수괴석의 배치 및 묘사법, 인물 표현 등을 살펴볼 때 김홍도 화풍과 유사점이 다수 발견된다.

대나무, 괴석, 야자수의 조합은 김홍도 작품에 자주 등장하며 먹선의 강약을 살린 난엽묘의 옷주름, 눈매의 묘사, 해학적인 표정의 묘사 등은 김홍도 인물화의 정형을 따르고 있다.

정은우 부산시 시립박물관장은 “‘후원한담도’는 조선 후기 문인들의 아취와 풍류를 엿볼 수 있는 작품으로 김홍도의 전칭 작품이 적지 않고 김홍도 화풍과의 관련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그 가치가 높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문화재자료 지정을 계기로 향후 체계적인 보존, 관리 및 연구에 더욱 힘쓰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주요기사

+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