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누수 대응체계의 사후적 한계 지적
신기술 도입 가능성 탐색 및 연구 필요성 제기
상수도관 정비사업의 투명성과 성과평가 강화 요구
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김재진 의원은 서울시 상수도관 정비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간 누수 감지 시스템 도입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2020년부터 2040년까지 약 3074킬로미터에 달하는 서울시 상수도관 정비 계획을 언급하며 노후 관로의 선제적 누수 예방 기술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제330회 임시회의에서 "30년 이상 된 노후 관로 중 위험등급 이하로 판정된 구간만 정비되고 있다"며 정비 대상 선정 기준과 사후 관리 실태에 대한 명확한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024년에는 62.5킬로미터의 관로가 정비됐으며 올해는 89킬로미터의 정비가 계획돼 있다.
현재 누수 대응체계가 주로 사후적 조치에 치중돼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김 의원은 "누수 발생 이전에 이상 징후를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선제적 대응 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아리수본부장은 "과거 자료, 전문가 의견, 학회 보고서 등 간접평가와 유속 변화 감지센서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나 직접 관측의 한계로 인해 정확도에 제약이 있다"고 답변했다.
김 의원은 도로균열 탐지에 사용하는 지표투과레이더(GPR) 등 신기술의 도입 가능성을 질의하며 상수도관 누수 예방에 효과적인 신기술 도입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아리수본부장은 "GPR은 도로 하부 2~3미터 범위 내 감지에는 유용하나 상수도관이 더 깊은 곳에 매설된 경우 한계가 있다"며 "조기에 누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서울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실질적 성과를 위해 상수도관 정비사업의 투명한 정보 제공과 선제적 누수 예방 기술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향후 관련 사업의 지속적인 성과평가와 관리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러한 노력은 서울시민의 안전과 편의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