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국민건강영양조사 연계자료 활용 가능
임승관 청장, 만성질환 예방관리 기여 기대
데이터 연계 확대, 건강정책 수립에 중요한 근거 제공
질병관리청은 21일 국민건강영양조사와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를 연계한 자료를 공개했다.
이번 자료는 2023년 사망원인통계를 갱신한 것으로, 연계율은 97.5%에 달하며 사망자 6567명이 포함됐다. 이 자료는 건강행태나 질병 상태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어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연계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중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자료 연계에 동의한 19세 이상 대상자 7만 1657명 중 6만 9855명의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사망 원인별로는 신생물(암)로 인한 사망이 1964명(29.9%)으로 가장 많았고, 순환계통의 질환 1385명(21.1%), 호흡계통의 질환 819명(12.5%) 순으로 나타났다.
○ 국민건강영양조사 연계대상자 중 사망자 수
| 전체 | 남자 | 여자 | |||
대상자수 (명) | 사망자수 (명) | 대상자수 (명) | 사망자수 (명) | 대상자수 (명) | 사망자수 (명) | |
전체 | 69,855 | 6,567 | 30,103 | 3,630 | 39,752 | 2,937 |
○ 사망 원인별 사망자 분포
사망원인* | 전체(n=6,567) | 남자(n=3,630) | 여자(n=2,937) | |||
사망자수 (명) | 비율 (%) | 사망자수 (명) | 비율 (%) | 사망자수 (명) | 비율 (%) | |
신생물(C00-D48) | 1,964 | 29.9 | 1,190 | 32.8 | 774 | 26.4 |
순환계통의 질환(I00-I99) | 1,385 | 21.1 | 672 | 18.5 | 713 | 24.3 |
호흡계통의 질환(J00-J98, U04) | 819 | 12.5 | 517 | 14.2 | 302 | 10.3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징후와 임상 및 검사의 이상소견(R00-R99) | 620 | 9.4 | 288 | 7.9 | 332 | 11.3 |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V01-Y89, U12) | 523 | 8.0 | 350 | 9.6 | 173 | 5.9 |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A00-B99, U07.1, U07.2, U10) | 270 | 4.1 | 133 | 3.7 | 137 | 4.7 |
신경계통의 질환(G00-G98) | 258 | 3.9 | 108 | 3.0 | 150 | 5.1 |
소화계통의 질환(K00-K92) | 233 | 3.5 | 139 | 3.8 | 94 | 3.2 |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E00-E88) | 218 | 3.3 | 118 | 3.3 | 100 | 3.4 |
비뇨생식계통의 질환(N00-N98) | 152 | 2.3 | 56 | 1.5 | 96 | 3.3 |
정신 및 행동 장애(F00-F99) | 58 | 0.9 | 32 | 0.9 | 26 | 0.9 |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M00-M99) | 33 | 0.5 | 12 | 0.3 | 21 | 0.7 |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한 특정 장애(D50-D89) | 24 | 0.4 | 9 | 0.2 | 15 | 0.5 |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L00-L98) | 6 | 0.1 | 4 | 0.1 | 2 | 0.1 |
선천 기형, 변형 및 염색체이상(Q00-Q99) | 4 | 0.1 | 2 | 0.1 | 2 | 0.1 |
* 국가통계포털(KOSIS)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참고
연구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서 연계자료 이용신청이 가능하며, 질병관리청 건강영양조사분석과와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통합서비스의 연구심의를 거쳐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자료 분석은 충북 오송 소재의 학술연구자료처리실 또는 원격학술연구자료처리실을 통해 가능하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국민건강영양조사-사망원인통계 연계자료가 건강 위험요인과 사망과의 관련성 등 다양한 보건분야 연구에 적극 활용되어 만성질환 예방관리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며 “질병관리청은 국민건강영양조사 활용도 제고 및 건강정책 근거 강화를 위해 타 기관의 건강자료와 연계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자료 공개는 보건의료 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질병관리청의 지속적인 데이터 연계 확대는 건강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