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중 시의원, 서울교통공사에 철저한 대비와 홍보 강화 주문
과거 사례 반복, 새로운 기술 도입과 훈련 개선 필요성 대두
서울교통공사, 대용량 배터리 반입 제한 검토 및 안전 홍보 강화 계획
![]() |
▲김원중 시의원 |
서울 지하철에서 최근 발생한 배터리 화재 사건이 시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4호선과 2호선에서 각각 발생한 이 사건들은 신속한 대응 덕분에 큰 피해없이 종료됐지만 더 체계적인 대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화재가 시민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며 관련 홍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서울특별시의회 교통위원회에서 김원중 의원은 서울교통공사를 상대로 질의를 하며, 이번 사건의 대응을 높이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응급상황에 대한 대비책과 시민 안전 홍보가 한층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철저한 대비의 필요성을 재차 언급했다. 그는 열차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위급 상황에도 만반의 준비가 필요함을 당부했다.
지하철 배터리 화재 사건은 처음 발생한 것이 아니다. 지난 8월 27일 4호선 진접행 열차에서 승객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발생했지만, 빠른 조치가 이뤄져 피해가 없었다.
며칠 후인 9월 1일에는 2호선 합정역 승강장에서 오토바이용 리튬배터리 화재로 인해 열차가 30분간 무정차 통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두 사건 모두 시민과 승무원의 신속한 대응이 돋보였다.
김 의원은 현행 화재 조치 매뉴얼과 배터리 화재 훈련이 존재하지만 부족한 점이 있다고 말했다. 시민 대상의 안전 동영상 및 홍보 방식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새로운 기술 도입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2026년부터 계획된 '객차 영상 종합관제센터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도입이 초기대응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공조 체계 강화를 주문했다.
끝으로 서울교통공사 백호 사장은 새로운 안전 홍보 방법을 준비하고 있으며 시민들에게 행동 요령을 지속적으로 안내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대용량 배터리 반입 제한에 대한 필요성도 검토 중이라며 시민 안전을 위한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서울교통공사를 비롯한 관련 기관들은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체계적인 대비와 홍보 강화에 힘써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