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지원 해외건설 기술정보 확대개편

이성관 / 기사승인 : 2017-05-29 14:47:2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기업경제신문 이성관 기자] 우리나라 중소·중견 건설엔지니어링 기업들의 해외 진출이 더욱 용이해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 이하 국토부)는 해외 거점국가별로 맞춤형 기술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8월 처음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을 오는 31일부로 확대·개편한다고 밝혔다.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해외 진출 대상 국가에 대한 정보가 2개 거점국가 2천400여 건에서 6개 거점국가 6천여 건으로 늘어난다.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은 해외 진출 대상 국가에 대한 정보 수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중소·중견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2014년부터 연구 개발 사업으로 추진 중인 정보제공 시스템이다. 기존 해외건설협회 등에서는 주로 대기업 중심의 건설공사 및 플랜트 수주 지원을 위한 공사 발주 정보, 건설시장 동향, 건설통계 등 제한적인 정보만을 제공했다.



이번에 확대·개펴한 해외건설엔지니어링 정보시스템은 설계, 감리 등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의 수주뿐만 아니라 업무수행 지원을 위한 해외 국가의 법과 제도를 비롯해 인허가, 입찰 및 계약, 설계, 사업 관리 등 기술정보 및 실제 사례 전반에 대해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주요 확대·개편 내용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한 종전 2개의 거점국가에 약 2천400여 건의 정보가 제공됐으나, 이번에 필리핀, 방글라데시, 미얀마, 페루 등 4개 거점국가를 추가했다. 약 6천여 건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 대상 국가와 정보량을 대폭 확대했다고 밝혔다. 여기에 6개 거점국가에 대해 국가별 종합안내서인 '해외 진출 가이드북'을 개발해 제공하고, 해외 건설사업 계약업무의 실무활용을 돕기 위해 '해외건설 계약 및 클레임 사례정보' 내용을 추가했다.



또한 기존의 주제별 정보서비스와 국가별 정보서비스 외에도 상황별 맞춤형 정보, 공사의 종류 및 시설물별 분류 검색, 해외건설 종합정보서비스 연계 등 사용자 편의를 위한 각종 기능을 개발해 더욱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전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하반기부터는 미국 진출에 필요한 정보인 건설 인프라 관련 법·제도, 기준, 계약방식 등도 제공할 예정"이라며 "2019년 상반기까지 9개 거점국가를 추가하는 등 정보제공 대상 국가와 정보량을 지속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주요기사

+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