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법원, 尹 구속 연장 불허 "검찰이 계속 수사할 이유 없다"

안재휘 기자 / 기사승인 : 2025-01-24 23:28:3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공수처가 공소제기 요구서 붙여 검찰청 검사에게 송부한 사건”
尹 대통령 측 “공수처법 따른 옳은 결정…석방하라”

 

▲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4차변론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증인신문을 

하고 있다. /사진=헌법재판소

    

서울중앙지법은 24일 내란 우두머리 등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기간 연장을 불허했다.

 

이날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전날 서울중앙지법에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기간 연장 허가를 신청했으나, 법원은 이날 구속기간 연장을 불허했다"고 밝혔다.

 

구속기간 연장 불허 사유에 대해서는 "수사처(공수처) 검사가 고위공직자범죄에 해당하는 사건을 수사한 다음 공소제기요구서를 붙여 그 서류와 증거물을 검찰청 검사에게 송부한 사건에서, 이를 송부받아 공소제기 여부를 판단하는 검찰청 검사가 수사를 계속할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법원은 고위공직자 등의 범죄를 독립된 위치에서 수사하도록 공수처를 설치한 공수처법의 입법 취지, 수사의 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사와 기소를 분리하고 이를 공수처와 검찰청 사이에도 적용하는 공수처법 제26조의 규정 취지, 검찰청 소속 검사의 보완수사권 유무나 범위에 관해 공수처법에 명시적인 규정이 없는 점 등을 판단 근거로 들었다.

 

공수처법 제26조는 '공수처 검사는 제3조 제1항 제2호에서 정하는 사건을 제외한 고위공직자 범죄 등에 관한 수사를 한 때에는 관계 서류와 증거물을 지체 없이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소속 검사에게 송부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수처법 제3조 제1항 제2호는 공수처의 설치와 독립성에 관한 규정으로 공수처는 대법원장 및 대법관, 검찰총장, ·검사, 경무관 이상 경찰 공무원 범죄에 대해서 공수처가 공소 제기와 유지를 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검찰은 전날 공수처로부터 윤 대통령 사건을 넘겨받고서 서울중앙지법에 구속기간 연장을 신청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구속기간이 마무리되는 시기에 맞춰 법원에 윤 대통령 사건을 기소하는 방안을 포함해 향후 대응 방안 검토에 착수했다.

     

대화하는 윤 대통령 변호인단

윤석열 대통령 법률대리인단 윤갑근 변호사가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변호인단과 대화하고 있다.

 

측 변호인단 즉시 대통령 석방해 공수처 불법행위 공범 되지 말라

 

윤석열 대통령 변호인단은 24일 서울중앙지검의 구속기간 연장 신청에 대한 법원의 불허 결정 직후 입장문을 내고 "서울중앙지법이 공수처법의 취지를 명확히 해 올바른 결정을 한 것"이라며 "윤 대통령을 즉시 석방하라"고 촉구했다.

 

변호인단은 "공수처법 26조는 공수처 검사가 수사를 마치고 서울중앙지검으로 수사기록을 송부하도록 하고 있다""이는 수사의 공정성을 담보하고 수사와 기소를 분리하는 공수처법의 취지에 기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따라서 중앙지검이 공수처의 수사에 이어 보완 수사를 할 근거는 전혀 없다""구속기간 연장 불허는 사법의 마지막 자존심"이라고 주장했다.

 

변호인단은 구속영장 기간 연장 불허가 공수처의 '불법수사'의 결과라고 주장하며 검찰에 윤 대통령 석방을 촉구했다.

 

변호인단은 "검찰은 더 이상 공수처의 불법과 꼼수에 편승해 대통령의 불법 구속 상태를 유지하지 말고 즉시 대통령을 석방해 공수처의 불법행위에 공범이 되지 말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수처는 지금까지 수사권이 없음에도 수사를 강행하고, 관할권 없는 법원에 영장 쇼핑을 했으며, 수천명의 경찰력을 불법 동원했다""대통령을 구속한 이후에도 가족의 접견 제한과 서신 금지, 강제구인 시도, 탄핵심판의 방어권 침해 등 온갖 불법을 마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변호인단은 "검찰은 대통령을 즉시 석방하고, 인권 보호 감독기관으로서의 지위를 무겁게 받아들여 지금까지 자행된 모든 불법행위를 해소하기 위해 철저한 수사를 신속히 진행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주요기사

+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