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제연무 감상
[2] 이유나 발제자 설명
[3] 토론 및 질의
[4] 마무리 말씀
[2021세종포럼 제8차 초청세미나]
<이유나와 함께하는 백제연무(百濟戀舞) 이야기>
2021년 10월 22일
-발제 : 이유나(백제연무단 대표 및 예술감독)
-지정토론 : 김영호(미디어시시비비 편집국장)
[1] 백제연무 감상
[2] 이유나 발제자 설명
[3] 토론 및 질의
[4] 마무리 말씀
![]() |
▲ 백제연무 |
정읍사 노래로 시작하는 백제연무는 그야말로 백제를 그리워하고 사모하는 마음을 담은 한국무용 창작으로 무용가 이유나에 의해 만들어졌다.
[봉황춤]
인트로는 정읍사에 글을 더하고 작곡하여 직접 노래 불렀다.
간절한 마음을 담담하게 표현하였다.
수제천(궁중의 중요한 연례와 무용에 연주하던 관악으로 국가의 태평과 민족의 번영을 구가함)을 25현 가야금곡으로 편곡(김영철 작곡가)하여 승무에서 모티브를 얻어 창작한 첫 번째 춤은 마치 금동대향로(부여 능산리 고분군에서 나온 백제 때의 향로)의 봉황이 날아 춤추는 듯하다.
![]() |
▲ 봉황춤 |
[방울잔춤]
백제연무의 한 작품으로 이어지는 두 번째 춤은 방울 잔을 들고 타령 장단에 맞추어 춤춘다.
백제 시대의 토기를 재현한 부여의 특산품 백제요 신승복 작가의 작품인 방울잔을 들고 춤추는 모습에서 백제의 찬란했던 문화와 역사를 다시 발견하게 된다.
![]() |
▲ 방울잔춤] |
[살풀이춤]
세 번째 순서는 우리의 얼과 한, 흥이 담겨진 아리랑 선율에 따라 살풀이춤을 춘다. 살풀이춤은 나쁜 액을 풀어내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우리의 민족성이 잘 나타나 있는 춤이다.
![]() |
▲ 살풀이춤 |
[북놀이]
이 백제연무의 네 번째 작품은 마지막 순서로 진도 북놀이(전남무형문화재 제18호)를 정읍사의 구음으로 재구성하여 북을 두드리며 축원하는 북춤으로 마무리하였다.
![]() |
▲ 북놀이 |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사비는 지금의 부여이다.
역사 속 성왕의 비참한 죽음을 애도하며 극락왕생을 기원하고
부여에 찬란했던 역사와 문화의 기운이 다시 영원히 함께하기를 염원하며 그리움과 사모하는 간절하고 애달픈 마음을 담아 만든 작품이다.
백제연무(百濟戀舞) - 이유나
백제를 그리워하고 사모하는 마음을 담아 안무하였다.
백제의 찬란했던 문화를 찬양하고 기뻐하며 그 영광이 오늘날에도 우리나라 (부여)에 이르기를 기원하는 간절함을 담은 창작무이다. 총 4개의 작품으로 구성되었으며 작품과 작품 사이에는 용의 몸짓이 인서트로 이어진다.
봉황춤 - (백제 금동대향로를 모티브로 하여 승무를 재구성한 춤)
방울잔춤 - (백제 토기를 재현한 춤) 이유나가 최초로 안무하고 정읍사 노래를 직접 불렀다.
살풀이춤 - 액을 풀어내어 잘되기를 바라고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춤으로 표현하였다.
북놀이춤 – 북을 울리며 태평을 축원하는 마음을 담은 춤으로 나라와 세상이 안정되어 걱정 없이 잘사는 평안함을 기원하였다.
달하
노피곰 도다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랴
우리 성왕 왕생하시어
부여 마루 밝히옵네
어긔야 어강됴리
아흐 다롱디리
![]() |
▲ 이유나 백제연무단 예술감독 |
1972년 1월 14일생 50세
충남 부여군 규암면 흥수로 878 휴엔하임 206동 102호
☎ 010-7754-6432
세종대학교 무용학과 졸업 한국무용 전공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졸업 문화예술학 석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문화교차학과 문화예술학 박사 수료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이수자
국가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전수자
전남무형문화재 제18호 진도북놀이 전수자
상훈
전국 선사 무용 경연대회 대상 (문화관광부 장관상)
임방울 국악제 전국 경연대회 우수상
국제 한국 전통 춤 경연대회 금상
양평군수 표창장 (2007. 2011. 2014년 3회)
사) 한국국악협회 부여군지부 지부장 표창장
2010년 [문예운동] 시 부문 신인상 수상 시인 등단
2012년 [문예운동] ‘오늘의 시인’ 선정
경력
현) 백제연무용단(춤백단) 대표 및 예술감독
여주 세종문화재단 이사
부여 평생학습관 한국무용 강사
논산 문화원 한국무용 강사
(사)한국 국악협회 부여군지부 회원
(사)한국 문인협회 부여군지부 회원
전) 대진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출강 교수 역임
한국 춤 무대 예술학회 이사
물 맑은 양평 무용단 대표
활동 사항
해외 파견 한국예능공연단 선발 (2006년 필리핀,2008년 투르크메니스탄)
2006년 남양주 세계야외공연 축제 참가
2010년 부천 무형문화엑스포 참가 승무 공연
2010년 지평 의병문화제 추모 공연
2012년 명창 안숙선과 함께하는 물 맑은 양평 좋을 See Good! 기획 공연
2012년 여주 도자기 싸리산 전야제 기획 공연
2014년 양평군립미술관 한국·독일 문화교류전 축하 공연
2015년 여주 국혼 명성황후 추모제전 기획 공연
2017년 ‘우리 춤 색을 입다’ 양평군립미술관 기획 공연
2017.18년 광화문광장 아리랑축제 북놀이 퍼레이드 참가
2019년 충남 농촌 체험학습 한마당 행사 공연
2019년 안숙선의 이야기 창극 ‘두 사랑’ 소고춤 안무 및 지도
2020년 전통한옥 브랜드화 사업 ‘10월의 어느 멋진 날’ 특별 출연
2020년 백제연무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2020년 제28회 국악한마당 공연 사)부여국악협회 구드래 야외 공연장
2020년 문화자원봉사 대표 프로그램 사업 ‘구림마을 온라인 골목 버스킹’
2020년 행주대첩 이야기 ‘행주산성의 북 울림’ 특별 출연
2021년 아름다운 전통연희의 향연 국립민속박물관 태평무 공연
2021. 10. 1. 부여 백제문화제 ‘백제연무’ 공연
2021. 10. 9. 부여 신동엽문확관 가을문학제 ‘그리운 것은 산에 있었다’
2021. 10. 10. 한성 백제문화제 대백제전 폐막식 ‘백제연무’ 초청공연
2021. 10. 16. 행주산성의 북울림 ‘태평무’공연
이 외 다수 공연
보유 자격증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이수자
전통춤 지도자
우리춤 체조 지도자
승무 지도자
실기 체육 교사
문화예술교육사
노인심리상담사
실버 요가
진도 북놀이 지도자
이 외 다수 취득
유튜브
백제연무 홍보 영상 https://youtu.be/sc3kdaqVdeo
백제연무 공연 영상 https://youtu.be/lKUITOGhECM?t=23
살풀이춤 https://youtu.be/jmbaWTlIevE?t=422
승무 https://youtu.be/Z_tSncQoY6s?t=4
유나책방 https://youtu.be/UsQL78p2oDM?t=27
문화유산회복재단 인터뷰 https://youtu.be/d1ATw2yL4kY
웹문서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92401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0243
https://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11006000409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609612
http://lonelyplanet.co.kr/magazine/articles/AI_00002433
http://www.yp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8577
http://www.janamuseum.com/s_7/5022
https://www.igbf.kr/gugak_web/?sub_num=1384&state=view&idx=164923&aPageNo=1
https://news.v.daum.net/v/20070209100314806
https://cafe.daum.net/insadongi/2cI/2?q=%EC%9D%B4%EC%9C%A0%EB%82%98+%EC%9E%85%EC%B6%A4&re=1
https://cafe.daum.net/Dongori123/Elkd/832?q=%EC%9D%B4%EC%9C%A0%EB%82%98+%EC%9E%85%EC%B6%A4&re=1
外 다수
[저작권자ⓒ 미디어시시비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